🇺🇸 미국이 비트코인을 흡수하기 위한 6가지 전략
1. 비트코인 ETF 승인
2024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비트코인 현물 ETF를 최초로 승인했습니다.
이로써 기관 투자자들은 제도적으로 BTC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고,
ETF를 통해 유입된 자금은 미국 내 커스터디(보관소)를 거치게 되며 비트코인이 미국으로 집중되고 있습니다.
2. 회계기준 개정 – 기업 보유 환경 개선
기존에는 비트코인이 ‘무형 자산’으로 분류되어
- 하락만 반영되고
- 상승은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아
기업 입장에서 부담이 컸습니다.
하지만 최근 공정가치 평가가 가능한 ‘투자자산’으로 회계기준이 개정되며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BTC를 보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3. 정치권의 비트코인 수용 움직임
- 트럼프 전 대통령: “비트코인, 미국에서 100% 채굴해야 한다.”
- 공화당 의원들: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간주하는 법안 발의.
- 여러 정치 세력이 비트코인을 법적 보호 자산으로 인정하려는 시도를 지속 중입니다.
4. 채굴 인프라의 미국 내 집중
중국의 채굴 금지 이후, 미국은 세계 최대 비트코인 채굴 국가로 등극했습니다.
특히 텍사스와 와이오밍 등은
- 풍부한 전력 공급
- 친화적인 법규를 바탕으로
채굴 기업들을 적극 유치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생산이 미국 안에서 이뤄진다는 것은,
해시레이트(채굴 파워)까지 미국이 장악한다는 의미입니다.
5. 기관 및 공공 부문의 투자 확대
- 미국의 일부 주 정부, 연기금, 공공기관이 BTC나 ETF에 투자 중.
- 블랙록, 피델리티 등 대형 금융기관들도 BTC 커스터디 및 투자 사업에 적극 참여.
이는 전 세계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들어올 때 미국을 거치도록 유도하는 구조를 형성합니다.
6. 달러와 비트코인의 ‘공존 전략’
미국은 비트코인을 달러의 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달러는 ‘유통 수단’,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이원화된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즉, 패권은 달러로 유지하면서,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처럼 통제 가능한 자산으로 흡수하고 있는 것입니다.
정리 요약
전략 | 목적 |
비트코인 ETF | 미국 내 자금과 커스터디 집중 유도 |
회계기준 개정 | 기업 보유 촉진 |
정치·법률 지원 | 법적 지위 강화, 제도권 편입 |
채굴 인프라 유치 | 생산 주도권 확보 |
기관 투자 확대 | 글로벌 자금 유입 경로 확보 |
달러 공존 전략 | 디지털 패권 균형 구축 |
결론
비트코인은 단순한 암호화폐가 아닙니다.
이제는 미국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 흡수하고 관리하려는 전략적 자산입니다.
ETF 승인, 회계제도 변화, 채굴 집중 등은 모두 비트코인을 미국 중심 질서로 끌어들이기 위한 수단입니다.
앞으로 비트코인의 가격만 보는 것이 아니라,
누가 그것을 얼마나 보유하고, 어떻게 통제하려 하는지를 관찰하는 것이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은 왜 기축통화가 될 수밖에 없는가: 에너지와 기술의 연결고리 (3) | 2025.05.23 |
---|---|
🇺🇸 왜 미국은 비트코인을 흡수하려 하는가?– 중국의 변화와 디지털 통화전쟁의 서막 (4) | 2025.05.22 |
왜 미국은 비트코인을 사들이는가? 후속편 (2) | 2025.05.22 |
왜 미국은 비트코인을 사들이는가? 강달러 전략의 숨은 퍼즐 (3) | 2025.05.22 |
“비트코인은 왜 가상자산일까? 디지털 돈의 진짜 의미” (6)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