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에 도움 되는 금융, 건강, IT, 무주 지역 이야기를 전합니다.

금융

“비과세 금융상품 TOP 3 – 세금 안 내는 투자, 뭐가 있을까?”

by 땅심사랑 2025. 4. 9.

💸 수익은 그대로, 세금은 제로?

재테크에 관심 있다면 꼭 알아야 할 것이 바로 비과세 금융상품입니다.
이자나 수익이 생겨도 세금을 안 내도 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절세 + 수익률 극대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죠.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꼭 알아둬야 할
비과세 금융상품 TOP 3를 소개합니다.


✅ 1. 비과세 종합저축 (만 65세 이상, 장애인 등 대상)

 

  • 가입 대상: 만 65세 이상, 장애인, 유공자 등 (1인 1계좌)
  • 비과세 한도: 이자소득 연 2,000만 원까지 비과세
  • 가입 가능 상품: 예금, 적금, 채권, 보험 등 다양

📌 일반 예금은 이자소득세 15.4% 부과되지만,
비과세 종합저축은 세금 없이 전액 수령 가능

💡 노년층에게는 사실상 최고의 안전형 절세 상품!

 

✅ 비과세 종합저축 – 농민 대상 요약

📌 가입 자격

  • 농업인 및 어업인도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 가능
  • 가입 당시 기준: 농어업인 확인서 또는 관련 서류 제출 필요

📌 혜택 내용

  •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15.4%) 전액 면제
  • 연 2,000만 원 이자소득까지 비과세 적용 (※ 예금 원금이 아닌 ‘이자 소득’ 기준)

📌 가입 가능 금융기관

  • 농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시중은행 등
  • 특히 농민의 경우 농협이 가장 접근성과 혜택이 좋음

📌 유의사항

  • 1인 1계좌만 가능
  • 5년 이상 유지 권장 (중도 해지 시 일부 불이익 가능)
  • 가입 시 농업경영체 등록 확인서, 농지원부, 농민 확인서 등 필요할 수 있음

💬 실제 활용 예시

전북 무주에서 농사를 짓는 A씨는
농협을 통해 비과세 종합저축에 가입,
3,000만 원 예치 후 발생하는 이자에 대해 세금 없이 전액 수령하고 있습니다.
단, 연 2,000만 원 이자 초과분에 대해서는 과세됩니다.


🎯 핵심 요약

항목 내용
대상 농민, 어민, 고령자, 장애인 등
조건 농업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혜택 연 2,000만 원 이자까지 비과세
가입처 NH농협, 시중은행 등 (1인 1계좌 한정)

 

✅ 2. ISA 계좌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가입 대상: 만 19세 이상 소득이 있는 모든 국민
  • 비과세 혜택: 200만 원까지 수익 전액 비과세, 초과분은 9.9% 분리과세
  • 운용 가능 상품: 예금, ETF, 펀드, 리츠 등 종합 운용

📌 일반형 / 서민형 / 청년형 ISA로 구분됨
📌 2025년까지 비과세 한도 확대 유지 중

💡 ETF 투자와 세제혜택을 동시에 누리고 싶다면 필수


✅ 3. 장기저축성 보험

  • 가입 조건: 10년 이상 유지 / 월 보험료 150만 원 이하
  • 비과세 혜택: 만기 시 이자소득 비과세
  • 주의사항: 10년 이전 해지 시 혜택 무효 + 과세 적용

📌 보험+적금 성격이 혼합된 상품
📌 노후 자금, 교육 자금 등 목적 저축에 유용

💡 보험이지만 투자·저축 기능까지 갖춘 복합형 비과세 상품


🎯 보너스: 해외주식 양도세 절세를 원한다면?

ETF로 우회 투자!

  • 해외 주식 직접투자 → 연 250만 원 초과분 양도세 과세
  • 대신 해외 ETF에 투자하면 국내 과세 체계로 분류
  • 특히 ISA 계좌 안에서 해외 ETF 운용비과세 혜택 + 분산 투자 가능

💡 미국 S&P500 ETF도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