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에 도움 되는 금융, 건강, IT, 무주 지역 이야기를 전합니다.

금융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나에게 맞는 상품은? (2025 총정리)

by 땅심사랑 2025. 4. 7.

📍 청년을 위한 적금, 두 가지 중 뭘 선택할까?

정부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청년도약계좌청년희망적금이라는 대표 상품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둘 다 정부 지원 + 고금리 혜택이 있지만,
대상과 조건, 납입 방식은 완전히 다릅니다.

2025년 기준으로 나에게 유리한 상품이 무엇인지 비교해보겠습니다.


✅ 기본 비교표

항목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대상 만 19~34세, 근로소득자 만 19~34세, 총급여 3,600만 원 이하
납입 기간 5년 2년
월 납입액 최대 70만 원 최대 50만 원
금리 기본 + 정부 기여금 (최대 연 6~7%) 기본 + 이자소득 비과세 (실효금리 6% 이상 가능)
정부지원 방식 기여금 직접 적립 (연 소득에 따라 상이) 이자소득 비과세 + 장려금 지급
수령액 (만기 시) 약 5천만 원 이상 약 1,200만 원 내외

✅ 청년도약계좌: 더 오래, 더 많이 모으고 싶다면

  • 5년 장기 적립 상품
  • 연소득에 따라 정부가 매칭 형태로 기여금 지원
  • 2025년 기준 최대 5,000만 원 이상 모을 수 있음
  • 단, 소득이 있어야 신청 가능 (연 7,500만 원 이하)

📌 중도해지 시 일부 지원금 반환해야 함


✅ 청년희망적금: 짧게 굵게 모으고 싶다면

  • 2년 단기 고금리 적금
  • 은행이 제공하는 금리 외에
    정부가 이자소득세 면제 + 장려금 36만~144만 원 지급

📌 급여 3,600만 원 이하 청년만 가능
📌 가입 조건 충족 시 정부 장려금 자동 지급


✅ 어떤 사람이 어떤 상품이 유리할까?


 

상황 추천 상품
매달 50만 원 이상 저축 가능, 장기 계획 있음 ✅ 청년도약계좌
당장 자산이 적고 단기 저축 목표 ✅ 청년희망적금
소득이 적고, 단기 대출/월세 등 병행 중 ✅ 청년희망적금
5년 이상 확실히 모을 자신 있음 ✅ 청년도약계좌

✅ 신청 방법

상품신청처시기
청년도약계좌 우리, 국민, 농협 등 시중은행 상시 모집 (연초 집중 신청 많음)
청년희망적금 시중은행 앱 / 방문 모집기간 공지 후 선착순 마감 (예: 3월, 9월 등)

📌 청년희망적금은 선착순 마감이 빨라서 사전 예약 필수입니다!


✅ 실전 팁

  • 두 상품 동시 가입은 불가
  • 신용점수 및 연체 이력 없어야 신청 가능
  • 정부지원금은 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
  • 가입 전 반드시 마이데이터 연동 후 조건 확인

✅ 결론 요약

청년도약계좌: 장기 저축 가능, 큰 금액 모으고 싶을 때
청년희망적금: 짧은 기간, 저소득자에게 유리한 고금리 적금
✔ 둘 다 정부가 지원하므로 적극 활용하는 것이 자산 형성에 큰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