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 사회에 나와 금융 용어가 어렵게 느껴진다면?
직장을 처음 다니거나 자영업을 시작한 사회초년생이라면,
금융기관에서 말하는 말들이 어렵고 낯설게 느껴질 수 있어요.
예: “이거 DSR 기준 넘어요.”, “비과세 적금 되세요?”, “리볼빙 신청하셨어요?”
👉 오늘은 사회초년생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금융 용어 10가지를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사회초년생이 알아야 할 금융 용어 TOP 10
🔹 1.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연소득 대비 내가 갚아야 할 모든 부채(원금+이자)의 비율
📌 대출심사 시 핵심 지표 / 보통 40% 초과하면 대출 어려움
🔹 2. 신용점수 (Credit Score)
나의 금융 신뢰도를 수치로 나타낸 점수
📌 1000점 만점 → 800점 이상: 고신용자 / 600점 이하: 저신용자
📌 대출 가능 여부와 금리에 큰 영향
🔹 3. 리볼빙 (결제이월서비스)
카드값 중 일부만 내고 나머지는 다음 달로 넘기는 서비스
📌 일시적으로 유용하지만 이자 부담 큼
📌 자주 사용하면 신용등급 하락 원인
🔹 4. 비과세 적금
이자소득세(15.4%)를 내지 않아 수익률이 높은 적금
📌 청년, 농어민, 사회초년생 대상 상품 많음
🔹 5. 연체이자
약속한 날짜에 돈을 갚지 못했을 때 붙는 벌금성 이자
📌 연체하면 신용점수 급락 + 대출 불이익
📌 하루라도 연체는 피해야 함
🔹 6. 예금자 보호
은행이 망해도 1인당 5천만 원까지 보호받는 제도
예금자 보호 한도는 향후 기존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될 예정입니다.
📌 정기예금, 적금 등 대부분 적용됨
📌 P2P 투자, 가상자산 등은 보호 안 됨
🔹 7. 마이너스통장 (한도대출)
일정 한도를 정해두고 필요할 때 자유롭게 꺼내 쓰는 대출
📌 자주 쓰면 신용점수 하락 원인
📌 사용금액이 아닌 한도 자체도 ‘부채’로 인식
🔹 8. 대출금리 (변동금리 vs 고정금리)
항목 | 설명 |
변동금리 | 시장금리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감 |
고정금리 | 계약한 금리가 유지됨 |
📌 초보자에게는 안정적인 고정금리가 유리한 경우 많음 |
🔹 9.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항목 | 설명 |
소득공제 | 세금을 계산하기 전에 소득을 깎아줌 |
세액공제 | 이미 계산된 세금에서 깎아줌 |
📌 연말정산 또는 청년형 IRP, ISA 관련 핵심 용어 |
🔹 10. 주담대 / 전세대출 / 햇살론
부동산 대출 관련 용어
- 주담대: 주택담보대출
- 전세대출: 보증금 지원
- 햇살론: 저소득층·청년용 정부지원 대출
✅ 금융 지식이 신용과 자산을 지킨다
처음에는 어려운 단어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금융 용어를 제대로 알고 있으면 대출, 적금, 세금 등
일상 속 돈 문제에서 훨씬 유리해집니다.
특히 사회초년생일수록 신용점수와 금융 습관을 초기부터 잘 잡아야
앞으로 큰 돈을 쓰는 순간(차, 집, 결혼 등)에서 유리합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천 원, 나도 투자 시작할 수 있을까? (2025 초소액 투자 가이드) (5) | 2025.04.07 |
---|---|
연봉 3천만 원 직장인, 어떻게 월급 관리할까? (2025 현실 가이드) (3) | 2025.04.07 |
무이자 할부, 신용점수에 영향 줄까? 2025년 기준 분석! (0) | 2025.04.07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나에게 맞는 상품은? (2025 총정리) (2) | 2025.04.07 |
무직자도 가능한 정부 소액대출, 조건과 상품 총정리 (2025년) (1) | 2025.04.07 |